"Loading..."

이벤트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이벤트산업 中企 최대 애로는 "불공정한 계약관행"

작성일2022-01-02
작성자관리자

이벤트 산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고용창출의 메카로 이벤트 산업을 육성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장이 마련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와 콘텐츠산업위원회(위원장 이창의)는 한국이벤트산업단체협의회(회장 엄상용) 주관으로 지난달 22일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2015 대한민국 이벤트산업 포럼’을 개최했다. ‘청년고용창출, 이벤트산업 활성화를 통해 해결합니다’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학계, 정부, 이벤트업체 대표 및 임직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연간 5만3천개 일자리 생성 이번 포럼에는 이벤트업 중소기업의 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중기중앙회가 포럼에 앞서 전국 이벤트업종 2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벤트산업 발전을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벤트업 중소기업의 연 평균 매출액은 약 22억5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연 평균 고용인원은 17.7명으로 연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평균 34.3%로 나타났다. 국내 이벤트업체의 수가 약 3000개임을 감안하면 이벤트산업에서 연간 약 5만3100명의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벤트업 업계 중소기업들은 계약과 정산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벤트업 중소기업의 39%가 ‘불공정한 계약관행(적정 대행료 및 기획료 부재)’을 가장 큰 경영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또한 ‘입찰에서 과도한 자료요구 등 비용 부담’(37.5%)과 ‘불합리한 입찰(심사) 기준(대형사 위주 입찰 및 하청구조 등)’(31%)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벤트업 중소기업들은 이벤트 산업의 가장 중요한 경제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44.5%)를 꼽았으며, ‘타 산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33.5%), ‘고용창출 효과’(17%)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이벤트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3곳 중 2곳(65%)이 ‘정부(또는 지자체)의 축제·행사 예산 확대’를 요구했으며, 향후 가장 역량을 집중해야 할 분야로 ‘콘텐츠 개발(아이디어 포함)’(36%)을 꼽았다. “산업 육성 위한 제도적 장치 필요” 이번 포럼에는 이벤트 업계 고충을 해소하고 고용창출 효과를 재조명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최기성 한국고용정보원 박사는 ‘이벤트산업의 고용현황과 고용창출 효과’ 주제발표를 통해 “2006년부터 7년 동안 이벤트 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이 전체 산업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며 “특히 여성 및 청년 친화적인 성격을 지닌 일자리 비율이 높아 향후 국가 전체의 고용 창출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외에 이영욱 법무법인 감우 변호사는 ‘행사대행계약에서 사후정산의 여러 문제’, 김정진 ㈜매크로메트릭스 대표는 ‘이벤트산업발전법의 필요성 및 내용’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이어진 포럼에서는 한양대학교 이훈 교수의 진행으로 업계 종사자와 정부 관계자 등이 패널로 참여해 ‘이벤트산업 발전법’의 필요성과 이벤트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심재길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 조정환 한국이벤트협회 회장, 신창렬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 소장 등이 △업체 선정시 절차 불합리 △사후 정산 문제 △정부의 낮은 예정 가격 등을 문제로 건의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의 ‘이벤트산업 발전법’ 제정 필요성 역설에 대해 장경순 서울지방조달청장도 “발전법 제정을 통해 관련 제도가 투명하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며 공감의 뜻을 내비쳤다. 박성택 중기중앙회장은 “이벤트산업의 획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업계의 고질적이고 불합리한 관행 개선과 정부 지원제도의 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벤트업계 자체의 노력과 함께 정부도 대형 기획사 위주의 입찰조건 개선, 제출한 기획서의 저작권 보호 등 제도개선과 ‘이벤트산업 발전법’입법을 통해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목록